본문 바로가기
공부/경락경혈학

수소양삼초경 혈위 및 자침 방법

by 하니녜 2022. 7. 15.

 

 

 

경로 : 약지손가락을 따라 두 뼈 사이를 타고 올라감. 자뼈와 노뼈의 튀어나온 부분(뼈의 끝과 끝)을 찾아서 뼈 사이에 놓기. 이때, radius와 humerus 잘 구분하기.

 

 

 

관충 : 약손가락, 끝마디뼈의 자쪽, 넷째손톱 자쪽 뿌리각에서 몸쪽으로 0.1촌

액문 : 손등, 약손가락과 새끼손라가 사이, 손샅가장자리 위쪽 오목한 곳. 적백육제

(손샅보다 살짝 더 몸쪽으로. 방향은 손허리뼈와 나란히. 손을 피면 놓기 어려움. 후계처럼 살짝 주먹 쥔 상태에서 울버린처럼)

중저 : 손등, 넷째와 다섯째 손허리뼈 사이, 넷째 손허리손가락 관절 몸쪽 오목한 곳.

(소부를 향해 자침)

양지 : 손목 뒤쪽면, 손등쪽 손목주름 위, 손가락폄근힘줄 자쪽 오목한 곳.

(손가락폄근힘줄-4개의 줄기 모임. 그 옆 새끼손가락폄근힘줄-1개 줄기. 그 사이)


외관 : 아래팔 뒤쪽면, 자뼈와 노뼈 뼈사이공간의 중점, 손등쪽 손목주름에서 몸쪽으로 2촌

(내관과 상응. 제일 잘 만져지는 구멍에 직자)

지구 : 아래팔 뒤쪽면, 자뼈와 노뼈 뼈사이공간의 중점, 손등쪽 손목주름에서 몸쪽으로 3촌

회종 : 아래팔 뒤쪽면, 자뼈의 바로 노쪽, 손등쪽 손목주름에서 몸쪽으로 3촌

(뼈에 딱 붙여서 놓기)

삼양락 : 아래팔 뒤쪽면, 자뼈와 노뼈 뼈사이공간의 중점, 손등쪽 손목주름에서 몸쪽으로 4촌

사독 : 아래팔 뒤쪽면, 자뼈와 노뼈 뼈사이공간의 중점, 팔꿈치머리 융기에서 몸쪽으로 5촌


천정 : 팔꿈치 뒤쪽면, 팔꿈치머리 융기에서 몸쪽으로 1촌이 되는 오목한 곳

(olecranon의 제일 뾰족한 곳에 손을 대고 쏙 들어가는 제일 깊은 곳에 직자)

청랭연 : 위팔 뒤쪽면, 팔꿈치머리 융기와 봉우리각을 연결하는 선 위, 팔꿈치머리 융기에서 몸쪽으로 2촌

소락 : 위팔 뒤쪽면, 팔꿈치머리 융기와 봉우리각을 연결하는 선 위, 팔꿈치머리 융기에서 몸쪽으로 5촌

노회 : 위팔 뒤쪽면, 어깨세모근의 뒤모서리 아래뒤쪽, 봉우리각에서 아래쪽으로 3촌

(삼각근 뒷모서리랑 삼초경;천정~견료 라인 만나는 곳. 삼각근 끝나는 곳 아래 느낌)


견료 : 어깨이음구조, 봉우리각과 위팔뼈 큰결절 사이의 오목한 곳.

(삼각근 가운데 belly가 뒤에 닿는 곳. 어깨뼈가시의 아래끝, 삼각근의 가장자리가 일반적)

천료 : 어깨뼈 부위. 어깨뼈 위각에서 위쪽 오목한 곳.

(곡원과 견정의 중간)


천유 : 앞쪽 목부위, 턱뼈각과 같은 높이, 목빗근의 뒤쪽 오목한 곳

예풍 : 앞쪽 목부위, 귓불의 뒤쪽, 꼭지돌기 아래끝의 앞쪽 오목한 곳


계맥 : 머리, 꼭지돌기 중심, 예풍에서 각손을 연결하는 곡선에서 위쪽으로부터 2/3, 아래쪽으로부터 1/3 지점

노식 : 머리, 예풍에서 각손을 연결하는 곡선에서 위쪽으로부터 1/3, 아래쪽으로부터 2/3 지점

각손 : 머리, 귓바퀴 끝의 바로 위쪽 지점

이문 : 얼굴, 귀구슬패임과 아래턱뼈 관절돌기 사이의 오목한 곳

이문혈, 그 아래가 청궁혈(소장경)

화료(和髎) : 머리, 관자놀이 머리카락경계선의 뒤쪽, 귓바퀴 뿌리의 앞쪽, 얕은 관자동맥의 뒤쪽

화료혈-삼초경


화료(禾髎)-수양명대장경 : 얼굴, 인중 부위의 중점과 같은 높이, 콧구멍 가쪽모서리 아래 쪽.

화료혈-대장경


사죽공 : 머리, 눈썹 가쪽끝의 오목한 곳

사죽공혈

 

댓글